을 포함하는 세 글자의 단어: 206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28개 🌻세 글자: 206개 네 글자:93개 다섯 글자:52개 여섯 글자 이상:82개 모든 글자:562개

  • 약원 : (1)‘용약원’의 북한어.
  • 폭군 : (1)‘티라노사우루스’를 달리 이르는 말. 성질이 폭군과 같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 되롱 : (1)‘도롱뇽’의 옛말.
  • 뿔 공 : (1)뿔이 달린 공룡. 트리케라톱스, 프로토케라톱스 따위이다.
  • : (1)장미과에 속하는 귀룽나무의 생약명. 가지를 약용하며 거풍, 진통, 지사의 효능이 있어 요통, 관절통, 설사 따위를 치료하는 데 쓴다.
  • 문단 : (1)용무늬를 놓은 비단.
  • : (1)국악 가곡 가운데 계면조의 평롱, 계락, 편삭대엽 따위를 노래 없이 향피리를 중심으로 대금ㆍ해금ㆍ장구ㆍ북으로 합주하는 곡.
  • 혈수 : (1)‘용혈수’의 북한어.
  • 신제 : (1)‘용신제’의 북한어.
  • 각석 : (1)용을 새겨 놓은 돌. ⇒남한 규범 표기는 ‘용각석’이다.
  • 설란 : (1)‘용설란’의 북한어.
  • : (1)1901년 2월에 우치다 료헤이(内田良平) 등이 일본 도쿄에서 조직한 일본 우익 단체. 한국 병탄에 앞장섰고, 대동아 공영권과 대륙 침략을 주장하였으며, 기관지 ≪흑룡≫을 간행하였다. 1946년에 미국에 의하여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 유성 : (1)조선 선조 때의 재상(1542~1607). 자는 이견(而見). 호는 서애(西厓). 이황의 문인으로, 대사헌ㆍ경상도 관찰사 등을 거쳐 영의정을 지냈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과 권율 같은 명장을 천거하였으며, 도학ㆍ문장ㆍ덕행ㆍ서예로 이름을 떨쳤다. 저서에 ≪서애집≫, ≪징비록≫, ≪신종록(愼終錄)≫ 따위가 있다.
  • 틀임 : (1)‘용틀임’의 북한어. (2)‘용틀임’의 북한어.
  • 평상 : (1)‘용평상’의 북한어.
  • : (1)평안북도 서남부를 흐르는 강. 적유령산맥에서 시작하여 청천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길이는 119km.
  • : (1)어려운 환경에서 출세한 남자. 속담 ‘개천에서 용 난다’와 ‘남자’를 결합하여 만든 말이다.
  • : (1)참나무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산증(疝症)과 이질 따위를 치료할 때 쓴다.
  • : (1)용문(龍門)에 오른다는 뜻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여 크게 출세하게 됨. 또는 그 관문을 이르는 말. 잉어가 중국 황허강(黃河江) 상류의 급류인 용문을 오르면 용이 된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규범 표기는 ‘등용문’이다. (2)‘등용문’의 북한어.
  • 두회 : (1)‘용두회’의 북한어.
  • 봉탕 : (1)‘용봉탕’의 북한어.
  • 공손 : (1)중국 전국 시대 조(趙)나라의 사상가(B.C.320?~B.C.250?). 자는 자병(子秉). 백마비마론(白馬非馬論)과 견백동이(堅白同異)의 궤변으로 알려져 있다. 저서에 ≪공손룡자≫가 있다.
  • 이반 : (1)중국 명나라의 문인(1514~1570). 자는 우린(于麟). 호는 창명(滄溟). 칠언 근체시에 가장 능하였다. 왕세정과 함께 고문사(古文辭)를 중시하고, 문(文)은 진한(秦漢), 시(詩)는 성당(盛唐)을 주장하였다. ≪당시선≫을 엮었다고 한다. 저서에 ≪고금시산≫, ≪이창명집≫이 있다.
  • 좌청 : (1)풍수지리에서, 주산(主山)의 왼쪽에 있다는 뜻으로 ‘청룡’을 이르는 말.
  • : (1)후삼국 태봉에서, 재정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중앙 관아. 신라 효공왕 8년(904)에 설치하였다.
  • : (1)경상북도 경주에 있던 절. 신라 진흥왕 때에 착공하여 선덕 여왕 14년(645)에 완성한 것으로, 신라 호국 신앙의 중심지였다. 고려 고종 때에 몽골군의 침입으로 소실되어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
  • : (1)‘샤오룽빠오’를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 : (1)신라 때에, 내성에 속하여 왕의 근시(近侍) 조직을 통할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애장왕 2년(801) 내성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기구로 만들었다.
  • : (1)고려 시대에,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 일원에 세운 조창. 인근 지역에서 세곡을 거두어 예성강 입구의 경창으로 보냈다.
  • : (1)중국 청나라의 국기(國旗). 누런 삼각 기폭에 용(龍)을 그렸다. (2)조선 시대에, 임금이 군대를 사열(査閱)할 때 쓰던 기(旗). 황색, 녹색, 미색 따위의 색깔의 기가 쓰였는데, 용을 한 마리 또는 두 마리씩 그렸다.
  • : (1)고려 인종 7년(1129)에 건축한 서경(西京) 대화신궁(大花新宮)의 정전(正殿).
  • 다두 : (1)수미산(須彌山)에 산다는, 몸 하나에 아홉 개의 머리가 달린 용.
  • : (1)미나리에 붙은 도롱뇽의 알을 먹어서 얼굴이 누레지거나 푸르러지며 배가 부어오르는 병.
  • 유운 : (1)조선 선조 때의 목사(牧使)(1539~1601). 자는 응견(應見). 호는 겸암(謙庵). 유성룡의 형으로, 선조 5년(1572)에 전함사 별좌를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사복시 첨정을 거쳐 풍기 군수ㆍ원주 목사를 지냈다. 저서에 ≪경암집≫ 따위가 있다.
  • : (1)함경남도 장진군에 있는 산. 높이는 1,371미터.
  • : (1)임금이 입던 정복. 누런빛이나 붉은빛의 비단으로 지었으며, 가슴과 등과 어깨에 용의 무늬를 수놓았다.
  • : (1)미나리에 붙은 도롱뇽의 알을 먹어서 얼굴이 누레지거나 푸르러지며 배가 부어오르는 병.
  • 두마 : (1)말의 하나.
  • 상방 : (1)‘용상방’의 북한어.
  • : (1)조선 시대에, 나라에서 지내던 기우제의 하나. 서울 동대문 밖에 청룡(靑龍), 남대문 밖에 적룡(赤龍), 서대문 밖에 백룡(白龍), 창의문 밖에 흑룡(黑龍), 종로 거리에 황룡(黃龍)을 각각 그려 붙이고 사흘 동안 제사를 지냈다.
  • : (1)중국 전국 시대의 구리로 만든 거울의 하나. 몸을 동그랗게 감은 용의 그림이 있으며, 머리 부분에 범을 나타낸 것도 있어 ‘용호경(龍虎鏡)’이라고도 한다.
  • : (1)국화의 하나. 꽃잎이 잘고 누런빛을 띤다.
  • : (1)용틀임 무늬가 조각된 빗.
  • 교의 : (1)‘용교의’의 북한어.
  • : (1)노인들의 질병에 쓰는 보약. 추위를 몹시 타고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빈뇨증ㆍ어지럼증 따위에 쓴다.
  • : (1)배의 양옆의 판이 쓰러지지 않게 받쳐 주고 칸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가로목.
  • 청황 : (1)청룡과 황룡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1)포도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푸른 자주색의 줄기는 모가 지고 다른 나무나 풀을 감으며 올라간다. 잎은 다섯 개의 작은 잎으로 된 겹잎이며, 7~8월에 누런 녹색 꽃이 산방상(繖房狀) 취산(聚繖) 화서로 핀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까맣게 익으며 약재로 쓴다. 산이나 들에 나는데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 (1)포도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푸른 자주색의 줄기는 모가 지고 다른 나무나 풀을 감으며 올라간다. 잎은 다섯 개의 작은 잎으로 된 겹잎이며, 7~8월에 누런 녹색 꽃이 산방상(繖房狀) 취산(聚繖) 화서로 핀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까맣게 익으며 약재로 쓴다. 산이나 들에 나는데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 (1)거저릿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8mm 정도이며, 전체가 검은색이다. 저장 곡류나 말린 과실을 파먹는다. 중국에서는 성충을 그대로 삼켜 강장제로 먹는다. 전 세계에 분포한다.
  • : (1)‘지렁이’의 방언
  • 왕경 : (1)‘용왕경’의 북한어.
  • 머리 : (1)‘용머리’의 북한어. (2)‘용머리’의 북한어.
  • 궁당 : (1)‘용궁당’의 북한어.
  • 정사 : (1)조선 명종 때의 문신(1491~1570). 자는 운경(雲卿). 호는 호음(湖陰). 시문에 뛰어나고 음률에도 밝았으며, 중국 명나라와의 문화 교류에 힘썼다. 저서에 ≪호음잡고≫가 있다.
  • : (1)용틀임을 그린 밀초.
  • : (1)미나리아재빗과에 속하는 개구리자리의 생약명. 전초를 약용하며 결핵, 말라리아, 충치를 치료하는 데 쓴다.
  • 올림 : (1)‘용올림’의 북한어.
  • : (1)12~13세기 무렵 유럽에서 널리 쓰던 풍금. 고려 시대에 중국 원나라 궁정에서 이 악기를 구경하였다고 한다.
  • : (1)승천하지 않은 용을 나타낸 문양. 왕, 왕세자, 왕비의 흉배에 문양으로 사용되었다.
  • : (1)배가 암초와 부딪쳐 파손되거나 해조류 때문에 썩는 것을 막기 위하여 용골에 덧붙인 것. ⇒남한 규범 표기는 ‘가용골’이다.
  • 안육 : (1)‘용안육’의 북한어.
  • : (1)‘도롱뇽’의 방언
  • 정기 : (1)조선 선조 때의 무신(1562~1622). 초명은 무수(茂壽). 자는 경운(景雲). 호는 매헌(梅軒). 곤양 정씨의 시조로, 임진왜란 때에 별장(別將)이 되어서 왜군을 격파하여 통정대부에 오르고, 정유재란 때에 큰 공을 세워 뒤에 삼도(三道) 수군통제사가 되었다.
  • : (1)함경남도 안변군과 강원도 통천군 사이에 있는 산. 높이는 1,268미터.
  • : (1)‘호롱기’의 방언
  • 단청 : (1)풍수지리에서, 묏자리나 집터의 뒷산에서 왼쪽으로 뻗어 나간 산줄기 가운데 가장 안쪽에 있는 줄기.
  • 내청 : (1)풍수지리에서, 묏자리나 집터의 뒷산에서 왼쪽으로 뻗어 나간 산줄기 가운데 가장 안쪽에 있는 줄기.
  • : (1)아궁이 바닥에서 오랫동안 불기운을 많이 받아 누렇게 된 흙.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매워 습증, 부종, 해수(咳嗽), 토혈(吐血), 구토 따위에 쓰인다.
  • : (1)평안남도 양덕군 화촌면과 함경남도 고원군 오강면 사이에 있는 산. 높이는 1,024미터.
  • : (1)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선리에 있는 절. 직지사(直指寺)의 말사로, 보물인 석조 여래 좌상, 비로자나불 좌상이 있다. (2)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에 있는 절. 국보인 보각 국사 정혜 원융탑, 보물인 보각 국사 정혜 원융탑비 따위의 문화재가 있다.
  • : (1)전통적인 농경 사회에서 강우와 기후를 조절한다고 믿는 신.
  • : (1)‘용문’의 옛말.
  • 호영 : (1)‘용호영’의 북한어.
  • 이금 : (1)영화배우(1904~1955). 20세에 나운규의 <아리랑>에 단역으로 데뷔하여 그 뒤 <사랑을 찾아서>, <아리랑(후편)>, <들쥐>, <풍운아> 따위에 출연하여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그의 공로를 기려 ‘금룡상’이 제정되었다.
  • 이진 : (1)독립운동가(?~?). 일명 석대(錫大). 호는 기천(己千).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의병을 모아 항일전을 벌여, 해서(海西) 명장으로 이름을 떨쳤다. 뒤에 만주로 망명하여 항일 운동을 계속하다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 (1)충청남도 부여 백마강 가에 있는 바위. 중국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이 바위에 걸터앉아 백제 무왕의 화신인 용을 낚았다는 전설이 있다.
  • 산내 : (1)풍수지리에서, 종산(宗山)에서 내려온 산줄기.
  • 주닭 : (1)닭 품종의 하나. 고기를 얻기 위하여 기른다. ⇒남한 규범 표기는 ‘용주닭’이다.
  • : (1)짐승의 옆모습을 그린 무늬. 중국 은나라ㆍ주나라 때의 청동기에서 볼 수 있다.
  • : (1)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에 있는 산. 소백산맥에 속한다. 높이는 1,129미터.
  • : (1)캘리포니아바다사자의 가죽. 방수용구(防水用具)를 만드는 데 쓴다.
  • : (1)보병이나 기병(騎兵)이 쓰던 긴 칼을 이르던 말. 날은 반달 모양이고, 칼등의 중간에 딴 갈래가 있어서 이중(二重)의 상모를 달도록 구멍이 있으며, 밑은 용의 아가리를 물렸다. 중국식과 우리나라식의 두 가지가 있는데, 우리나라 것의 전체 길이는 일곱 자로 중국 것보다 조금 길다.
  • 트림 : (1)‘용트림’의 북한어.
  • : (1)공룡의 알.
  • : (1)도마뱀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8cm, 꼬리의 길이는 4cm 정도이며, 누런 갈색이고 눈과 다리를 거쳐 꼬리에 이르는 어두운 갈색 띠가 있다. 온몸이 비늘로 덮이고 짧은 네발이 있으며 몸 중앙에는 많은 비늘줄이 있다. 긴 꼬리는 위험을 당하면 저절로 끊어졌다가 새로 난다.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1)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까지 충청남도 계룡산 부근에서 제조되었던 흑화 자기. 외국의 영향을 받지 않은 우리나라 고유의 사기그릇이다.
  • 외청 : (1)풍수지리에서, 묏자리나 집터의 뒷산에서 왼쪽으로 뻗어 나간 산줄기 가운데 가장 바깥쪽에 있는 줄기.
  • 호군 : (1)‘용호군’의 북한어.
  • 조자 : (1)<삼국지>에 나오는 장수의 이름.
  • 대기 : (1)‘용대기’의 북한어.
  • : (1)열로 인한 경풍을 치료하는 데에 쓰는 환약.
  • : (1)조선 시대에, 대오방기(大五方旗) 가운데 진영(陣營)의 왼편에 세워 좌군(左軍)을 지휘하는 데에 쓰던 군기(軍旗). 파란 바탕에 청룡과 파란색ㆍ붉은색ㆍ누런색ㆍ흰색의 구름무늬가 그려져 있고 화염각(火炎脚)이 달려 있다. 깃대에 영두(纓頭)ㆍ주락(朱駱)ㆍ장목이 달려 있다. (2)대한 제국 때에, 청룡과 구름을 금박으로 입힌 의장기. 파란색 삼각기로, 검은색의 가장자리와 화염각이 달려 있다.
  • : (1)평안북도 영변 약산 동대 아래를 흐르는 구룡강의 이름을 딴 천. 능직 바탕에 공단 짜임으로 되어 있어서 흐르는 물결 무늬가 있다. 여성들의 치마저고릿감으로 많이 쓴다.
  • : (1)‘달래’의 방언
  • : (1)충청남도 공주시와 계룡시, 대전광역시에 걸쳐 있는 산. 갑사, 신원사, 동학사가 있다. 국립 공원의 하나이다. 높이는 845미터.
  • : (1)빈모강의 환형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의 길이는 작은 종류가 2~3mm, 큰 종류는 2미터 정도이고 긴 원통형으로 가늘며, 많은 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암수한몸으로 재생력이 강하고 흙 속이나 부식토에서 산다.
  • 갈기 : (1)갈기의 하나.
  • 문사 : (1)용무늬를 놓은 깁.
  • 어몽 : (1)조선 중기의 화가(1566~?). 자는 견보(見甫). 호는 설곡(雪谷)ㆍ설천(雪川). 매화를 잘 그려 황집중(黃執中)의 포도, 이정(李霆)의 대나무와 함께 삼절로 꼽힌다. 작품에 <묵매도(墨梅圖)> 따위가 있다.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4개) : 라, 락, 란, 랄, 람, 랍, 랑, 래, 랙, 랜, 램, 랩, 랬, 랭, 랴, 략, 량, 러, 럭, 런, 럼, 레, 렌, 렘, 렙, 렛, 려, 력, 련, 렴, 령, 례, 로, 록, 론, 롤, 롬, 롱, 롸, 뢰, 룀, 료, 룡, 루, 룩, 룬, 룰, 룸, 룹, 류, 륙, 륜, 률, 르, 륵, 를, 릉, 리, 릭, 린, 릴, 림, 립, 링

실전 끝말 잇기

룡으로 시작하는 단어 (149개) : 룡, 룡가, 룡가봉생, 룡각석, 룡갈기, 룡강기나리, 룡강올보리, 룡거, 룡고, 룡고기, 룡골, 룡골꼬마수레벌레, 룡골돌기, 룡골버들잎벌, 룡교의, 룡궁, 룡궁당, 룡권, 룡규, 룡기, 룡꿈, 룡날, 룡녀, 룡뇌, 룡뇌나무, 룡뇌소합원, 룡뇌향, 룡다리, 룡담, 룡담건위산 ...
룡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4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룡을 포함하는 세 글자 단어는 206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